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하버드대 교수 "코로나19, 더워져도 사라지지 않을 수 있어"…"또다른 감기로 생각하는 것은 위험" 본문

리빙

하버드대 교수 "코로나19, 더워져도 사라지지 않을 수 있어"…"또다른 감기로 생각하는 것은 위험"

kr.kr 2020. 3. 1. 16:21
반응형

뉴시스에 따르면 기온이 올라가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 사라지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 하버드대 TH챈 보건대학원의 전염병역학센터 소장인 마크 립시치 교수는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의 인터뷰에서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가 2003년 여름에 사라졌다는 오해가 퍼져 있다"며 "사스가 '사라졌다'는 것은 끔찍한 말이다.

사스는 극도로 강력한 보건 노력, 현대에 있어 유례없는 노력에 의해 통제됐던 것이다. 사스는 전혀 사라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바이러스는 날씨(기온)가 바람직하지 않을 때 조차도 쉽게 감염시키는 옵션들을 가지고 있다"며 "코로나 바이러스들이 계절성 경향을 가지고 있지만 이것(코로나19)이 같은 패턴을 보일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잘못일 수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로나 19를 "또다른 종류의 감기"로 생각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홍콩 중문대 교수 및 옥스퍼드대 방문교수인 에밀리 찬 잉양 역시 "코로나19가 재발할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하지만 보건정책 및 글로벌 차원에 있어 인간행동 패턴 차이에 따라 (코로나 19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보건센터의 아미시 아달자는 "(코로나 19는) 사람들 사이에서 엔데믹(한지역 내에서의 광범위한 확산)이 될 것"이라며 "백신이 개발될 때까지 5번째 계절성 코로나바이러스가 될 수있다"고 말했다.

과학계에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계절성 코로나바이러스는 229E, NL63, OC43, HKU1이다. 그런데 이 바이러스들은 지금까지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미네소타대 감염병연구 및 정책센터의 마이클 오스터홀름 소장은 "HKU-1은 미국에서 발생한 심각한 폐렴 발병에서 1~2%를 차지하고 있다. 낮은 수준의 문제이지만, HKU-1은 전 세계에 남아서 전염되고 있다"고 말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