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러시아를 반드시 한반도에 끌어들여야 하는 이유 본문
반응형
1. 러시아는 강대국이나 중국과 달리 한반도에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없는 행위자.(온 신경이 동유럽에 쏠려있음)
2. 러시아의 사활적인 이익은 철도와 파이프라인에 달려있음 (사실상 러시아 주수입원)
3. 한국은 세계2위의 천연가스 수입국
4. 한반도를 관통하는 철도와 가스관은 러시아에게 매우 큰 이득이 될 것임 (러시아도 이를 잘 알고 있음)
5. 북한 입장에서도 이런 저런 조건과 간섭이 주렁주렁 딸려있는 중국발 투자보다 앉아서 가만히 통행세 걷는 편이 나을 것.
(중국에 완전히 종속된 속국이 되지 않으려면 북한으로서도 다변화를 도모할 수밖에 없음)
6. 가스관이 연결되면 북한의 행동을 자제시키는 효과도 있음 (북한은 푸틴의 주 수입원을 갖고 장난칠 수 없을 것)
7. 러시아는 극동지방의 경제발전을 원하지만 중국자본을 들이는 것은 꺼려함 (한국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음)
8. 미중패권 경쟁이 격화되면서 결국 미국은 중장기적으로 러시아에 대해 유화적으로 나올 수밖에 없음
(닉슨이 소련 봉쇄를 위해 모택동과 손잡은 것처럼, 결국 미국은 푸틴의 손을 잡아야 함)
9. 미중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와중 북한 문제에 중국 외에 다른 플레이어를 끌어당길 필요가 있음.
(중국은 믿을 수 있는 보증인이 아님)
10. 전략적으로 현재 가장 불리한 위치에 있는 러시아(서유럽과의 갈등, 미국과의 갈등, 중국에 비해 엄청 퇴보한 영향력)
입장에서는 우리의 손길이 굉장히 고마울 수밖에 없는 처지.
2. 러시아의 사활적인 이익은 철도와 파이프라인에 달려있음 (사실상 러시아 주수입원)
3. 한국은 세계2위의 천연가스 수입국
4. 한반도를 관통하는 철도와 가스관은 러시아에게 매우 큰 이득이 될 것임 (러시아도 이를 잘 알고 있음)
5. 북한 입장에서도 이런 저런 조건과 간섭이 주렁주렁 딸려있는 중국발 투자보다 앉아서 가만히 통행세 걷는 편이 나을 것.
(중국에 완전히 종속된 속국이 되지 않으려면 북한으로서도 다변화를 도모할 수밖에 없음)
6. 가스관이 연결되면 북한의 행동을 자제시키는 효과도 있음 (북한은 푸틴의 주 수입원을 갖고 장난칠 수 없을 것)
7. 러시아는 극동지방의 경제발전을 원하지만 중국자본을 들이는 것은 꺼려함 (한국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음)
8. 미중패권 경쟁이 격화되면서 결국 미국은 중장기적으로 러시아에 대해 유화적으로 나올 수밖에 없음
(닉슨이 소련 봉쇄를 위해 모택동과 손잡은 것처럼, 결국 미국은 푸틴의 손을 잡아야 함)
9. 미중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와중 북한 문제에 중국 외에 다른 플레이어를 끌어당길 필요가 있음.
(중국은 믿을 수 있는 보증인이 아님)
10. 전략적으로 현재 가장 불리한 위치에 있는 러시아(서유럽과의 갈등, 미국과의 갈등, 중국에 비해 엄청 퇴보한 영향력)
입장에서는 우리의 손길이 굉장히 고마울 수밖에 없는 처지.
반응형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예령 기자는 의도한 것 맞습니다. (0) | 2019.01.11 |
---|---|
심재민 사무관은 회사로 치면 대리라고 하더군요 ㅋㅋㅋ (0) | 2019.01.08 |
백반토론 작가 짤린거 관련해서 업계에서 도는 카더라 (0) | 2018.12.18 |
20대 남성은 바보가 아니다 (0) | 2018.12.18 |
요즘 세대들이 더 강력한 정치색을 가지는 이유 (0) | 2018.12.1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