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한국만 이상하게 코로나 이혼 크게 줄었다… 본문

리빙

한국만 이상하게 코로나 이혼 크게 줄었다…

hkjangkr 2021. 2. 15. 07:15
반응형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9만7331쌍이 이혼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331건(-4.3%) 감소했다. 2015년(-6.0%) 이후 가장 많이 줄었다. 이혼 건수로 따져도 2017년 9만7198건 이후 가장 적었다.

미국ㆍ유럽 등 대부분 국가에선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집 안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는 데 따른 갈등으로 이혼이 급증하고 있다. 코로나19를 뜻하는 코비드(COVID), 이혼을 의미하는 디보스(Divorce)를 합쳐 ‘코비디보스(Covidivorce)’란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다. 그런데 한국만은 예외다.

이를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우선 코로나19로 인해 가족 모임이 줄면서 이혼의 원인 중 하나인 시집과 장서, 형제 등 시댁 식구와의 갈등이 줄어서란 분석이다. 뒷받침할 만한 통계가 있긴 하다.

보통 1년 중 이혼이 가장 몰리는 달은 3~5월이다. 2019년은 5월(9861건), 2018년도 5월(9706건)이었고 2017년은 3월(9486건)이었다. 이유로 설 명절이 지목됐다. 부부 간 갈등이 1~2월 명절 기간 증폭되면서 이혼 신청으로 이어졌고, 1~3개월 숙려 기간이 끝나는 3~5월 이혼 선고가 많았다. 명절 이혼이란 말이 여기서 나왔다. 추석 명절도 있긴 하지만 연말은 이혼을 꺼리는 분위기 탓에 이런 경향이 덜했다. 그런데 지난해엔 설 연휴 2~3개월 후 이혼 급증이란 공식이 통하지 않았다. 3~5월이 아닌 7월(9787건) 이혼이 가장 많았다.


또 다른 해석도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독립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영업 제한ㆍ금지 등 조치로 여성 일자리가 많이 몰려있는 서비스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남성(-8만2000명)보다 여성(-13만7000명)이 일자리를 더 잃었다. ‘이혼=경제적 독립’이 필요한 상황에서 참고 사는 비율이 늘었다는 진단이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