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마트 재활용 종이박스 없애는 게 환경보호? 먼개소리야 본문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ㆍ홈플러스ㆍ롯데마트ㆍ농협하나로유통 등 4개 대형마트 업체는 올해 11,12월부터 자율포장대와 종이박스를 매장에서 없애기로 했다. 지난달 환경부와 협약도 맺었다. 업체들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건 종이박스 때문에 장바구니 사용이 크게 늘지 않고 테이프, 끈 등 플라스틱 폐기물이 계속 발생한다는 지적 때문이다.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등 3개사에서만 연간 658톤 분량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형마트들은 앞으로 종이상자 대신 장바구니를 크기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 대여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할 경우 종이박스는 별도로 판매할 계획이다. 서울 구로구의 또 다른 대형마트에서 만난 안병선(63)씨는 “종이박스를 판매하겠다니 서민들 부담만 가중시키려는 것 같다”며 “장바구니 사용을 늘리자는데 플라스틱이나 비닐 재질의 장바구니가 늘면 그 또한 환경에 해가 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또 40대 주부 이모씨는 “포장용으로 사용한 종이박스를 집에서 재활용 폐기물을 모아서 버리는 용도로 다시 쓰고 있는데 비닐 봉투를 사서 폐기물을 버리는 것보다 더 친환경적”이라고 주장했다.
적지 않은 불만이 나오고 있지만, 업체들은 소비자들이 곧 익숙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형마트 A사 관계자는 “비닐봉투 제공을 중단했을 때도 비슷한 반발이 있었지만 금세 익숙해진 것처럼 종이박스 대신 장바구니를 사용하는데 금방 익숙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 협약에 참여한 대형마트 4곳과 제주도 현지 중형마트 6곳은 제주특별자치도와 업무협약을 맺고 이미 2016년 9월부터 종이상자 사용을 중단했다. 제주도 대형마트에선 장바구니 사용이 자리를 잡았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대형마트로서는 비용을 절감하는 측면도 있다. 대형마트 B사 관계자는 “폐기물을 줄이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지만, 테이프와 끈 같은 소모품 비용과 관리 인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이번 결정이 대형마트사의 자율 결정에 따른 것이며 최종 확정된 방안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이채은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은 “당장 종이박스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장바구니 대여 시스템을 만든 다음 일부 마트에서 시범으로 운영하겠다”며 “소비자들의 불편사항, 종이박스를 주워 생계를 유지하는 저소득층에 대한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뒤 업체들이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자튀김 이렇게 위험합니다"…7년간 먹은 17세 소년 실명 … 영양성 시신경증·제한적 음식 섭취 장애 앓아 (0) | 2019.09.08 |
---|---|
제13호 태풍 '링링'이 심상치 않습니다. 모두 대비하셔야... (0) | 2019.09.05 |
체코서 4개월간 뇌사상태 여성, 건강한 여아 출산... 엄마는 제왕절개 출산 후 연명치료 중단, '하늘나라로' (0) | 2019.09.04 |
장난으로 아파트 6층 난간에 매달려 '요가' 한 20대 여성, 추락 사고로 골절상 (0) | 2019.09.01 |
"지구의 허파가 죽어가고 있다" 아마존 화재, 왜 지금 문제되나 (0) | 2019.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