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어느정도는 버티겠지만 하락세가 지속되면 결국 중국은 기준금리 인하하고, 다시 위안화 절하를 시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본문

머니

어느정도는 버티겠지만 하락세가 지속되면 결국 중국은 기준금리 인하하고, 다시 위안화 절하를 시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author.k 2020. 1. 21. 16:24
반응형

중국 정부는 미국이 1차 무역 협정 직전에 환율 조작국 지정을 풀어 준 만큼 

환율 조작을 의심할 만한 행동을 하지 않거나 줄여나가야 합니다. 

현재 나타나고 있는 기준 금리 동결 지속이나, 위안화 절상 노력은 그에 대한

노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중국인민은행이 '기준금리'격인 LPR(최우량 고객 대출금리)을 2개월째 동결하고,

1차 무역 협정 이후 위안화가 절상되면서 중국이 돈줄을 약간 조이려는 움직임만

보이니 시장은 바로 하락 전환돼 버리네요.

 

중국 춘절 영향 때문에 이익 실현 매물이 쏟아진 것도 하락 이유가 될 수 있겠지만

하락세가 가파른 것이 중국 경제의 성장 동력원은 돈 쏟아 붓는 것 이외에

딱히 없다는 방증으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이렇게 되면 어느정도는 버티겠지만 하락세가 지속되면 결국 중국은

기준금리 인하하고, 다시 위안화 절하를 시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현상 유지만 한다면 6% 성장률 수성이 어렵거든요.

 

중국은 얼마전에 1인당 GDP 1만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소득 수준 상승으로 인해서 제조업 경쟁률 갈수록 떨어지고,

소득이 올랐으니 물가도 계속 오르고요. 

첨단 산업 제조업 굴기는 미국 때문에 못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딜레마는 깊어 질 것으로 전망 됩니다.

 

계속 긴축하자니 성장률 방어가 안되고, 주식 시장은 미끄럼틀 타고,

그렇다고 돈 찍어서 빚 잔치 하자니 트럼프가 재선되면 진짜 ㅈ될 것 같고,

첨단 제조업으로 전환도 불가능에 가깝고, 중국인들 소득 늘어나니

물가도 같이 오르고, 그러면서 제조업 경쟁력까지 나날이 떨어지고,

 

GDP 1만 달러 넘으면 뭣같은 일이 벌어질 것 같은 기시감이 드는 것은

그저 안좋은 기운으로 머물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