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직원을 찾는 게 아닌 '노예'를 구하니 지원자가 없죠"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본문
직원을 구하지 못한 5인 이상 사업체 일자리 2/3은 학력을 따지지 않거나 고졸 학력을 요구하는 직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빈 일자리 절반 정도는 '비교적 괜찮은 일자리'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고학력 구직자가 수용할만한 일자리가 많지 않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빡친 A씨는 "대기업 취직이 힘들다고 눈을 낮춰서 중소기업 가면 정말 열악한 환경에서 근로기준법 적용받으며 죽어라 일만 해야하고,
비전을 찾기도 어렵다"며 "청년 구직자들의 눈이 높은 게 아니다.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해 대기업, 공기업, 공무원 등으로 몰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B씨는 "상당수 중소기업 사장들은 직원을 마치 소모품처럼 취급하고, 월급은 적게 주며, 일을
엄청나게 시키고, 회사 키워놓으면 사장 친인척들이 상사로 낙하산 타고 내려와 가족회사가 된다"며 "이런 상황에서 이들 눈밖에 나면
권고사직 당하는 경우도 많다"고 울먹였다.
썰 푸는 C씨는 "월 170만원 주는 관공서 무기계약직 경쟁률 체크해봤냐"며 "대졸 구직자 눈높이에 안 맞는 게 아닌 사람 눈높이게 맞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D씨는
"대학 나와 일 안 하는 청년을 탓하지 마라. 뒤에서 기대하는 부모, 고졸자에 대한 사회의 시각, 비싼 등록금, 맹목적인 진학
강요 등 20여년간 떠밀리듯 살아온 이들이 4년제 대학 나오고 구멍가게 같은 곳에서 일하고 싶겠냐"고 반문했다.
빡친 E씨는
"단순하게 구직자들을 비난할 게 아닌 극소수 재벌기업, 대기업만 잘 먹고 잘 살게 해준 정부를 비판하라"며 "무조건 대학가라면서
부추겨놓고 질 낮은 일자리만 널리고 널린 현실을 어찌하지 못하는 나라를 탓해야 맞는 것 같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F씨는 "결국 문제는 이 나라 교육 시스템이다. 국가경쟁력 낮은 국내 취업용 학위 양산하는 대학도 문제"라며 "국내 대학 수도 1/3로 줄여야 한다. 이런 게 바로 과잉교육의 폐해"라고 힐난했다.
썰 푸는 G씨는
"일한만큼 대우받고, 초과근무는 거의 없으며, 안정적인 직장이면 누가 마다하겠냐"며 "박봉은 기본에 포괄임금제 때문에 거의 매일
야근하고, 인간적인 대우 바라는 건 사치인냥 노예 취급하는 회사를 누가 다니고 싶겠냐"고 하소연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스 다코다 골프장에서 최초로 드론 음식 배달 서비스 시작 (0) | 2018.09.05 |
---|---|
머스크 말 한마디에 테슬라 8% 급락 (0) | 2018.05.04 |
성진국 AV 대부 DMM 회장 카메야마 케이시 씹덕 터지는™ 뒷이야기 (0) | 2018.03.29 |
이재용은 석방됐는데 신동빈은 실형인 이유 그러하다 (0) | 2018.02.13 |
"추운 겨울에도 박삼구 회장님 오는 날엔 아시아나 유니폼만 입고 7cm 힐을 신고 서 있었어요"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0) | 2018.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