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26번째 확진 환자와 싱가폴학회, 일본 크루즈선 본문

리빙

26번째 확진 환자와 싱가폴학회, 일본 크루즈선

berniek 2020. 2. 9. 21:11
반응형



1. 25번째 환자는 아들며느리로부터 전염되었으며, 아들며느리(26,27번째환자)는 1월31일에 광저우를 출발했다고 함.
1월31일 광저우는 시내 확진자가 100명 안팎이던 시점이었음. 26, 27번째 환자가 1100만명급 광저우에서 감염되기란. 0.001%확률임. 물론 이시기에 후베이성을 출발한 감염자가 광저우를 거쳐 다른곳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교차감염되면서 확률은 올라갈수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시점에서 광저우는 비교적 전염확률이 높진 않음.

2. 국내환자중 17,19번째 확진자는 싱가포르 학회참석자인데 학회에 참석한 중국인으로부터 전파된것으로 추정되고있음(한국17,19번째 확진자뿐 아니라 해당학회 참석한 타국적자들도 다수감염)
그런데 당시 학회 행사일정은 1.20~22일이었음. 우한시가 폐쇄되기 전임,(우한폐쇄는 1.24) 1월20일기준 중국내 전체 확진자수는 300명 이하로 집계되던 시기였음.

3. 일본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의 감염경로는 홍콩에서 하선한 80세 홍콩인으로 추정됨. 문제는 해당확진자가 홍콩에서 '승선'했던게 아니라 '하선'했다는 사실임. 크루즈선은 홍콩을 들리기전에 중화권을 들린적이 없음.
최초 감염원을 알수없는 상황. (25일 이전 일본 내 정박지 중 어딘가에서 감염됐을수도..)


위 1,2,3만 봐도 확산 상황이 실제 집계되고 있는것보다 더 광범위할수도 있겠단 생각이 듭니다. (중국, 동남아 + 일본)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