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사우디가 오일전쟁에 전력을 다한다데요.JPG 본문
저유가 공포의 진원지로 '오일 전쟁'의 신호탄을 쏜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기업 아람코가 지출 삭감을 결정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세계 석유수요가 급감하는 가운데 시장점유율을 놓고 유가 인하 경쟁까지 치르려면 총알을 아껴야 한다는 인식에서다.
1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아람코는 올해 설비투자 규모를 250억∼300억 달러(30조~36조 원)로 전망했다. 이는 작년 328억 달러보다 8∼24% 가량 줄어든 것이다.
골드만삭스 예측에 따르면 4월까지 석유 수요가 하루 400만 배럴 감소할 수 있다. 헤지펀드 앙듀랑은 하루 1000만 배럴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봤다.
사우디 정부는 하루 산유량을 기존 970만 배럴에서 최대 1300만 배럴까지 늘리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국제유가는 30달러 대까지 폭락했다.
사우디는 유가가 떨어지더라도 증산을 통해 러시아의 항복을 받아내겠다는 심산이다. 러시아는 지난 5일 사우디의 '증산' 계획에 퇴짜를 놓았다. 사우디는 이에 급선회해 증산과 유가 인하를 선언했다.
즉, 점유율 경쟁에서도 이기고 글로벌 석유 수요감소에도 대응하기 위해 아람코의 허리띠를 졸 라 맬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아람코는 2019년 순이익이 3307억 리얄(109조 원)로 전년도(4175억리얄) 보다 21%나 감소했다고도 발표했다.
이런 상황에도 주주 배당금은 작년 732억 달러에서 올해 750억 달러로 더 늘릴 계획이다. 현재 아람코가 펴는 전략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유지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사우디 리야드 주식시장(타다울)에서 아람코 주가는 15일 기준 28.95리얄로 작년 12월 상장 당시 공모가(32리얄)보다 10% 하락했다.
사우디와 러시아가 감산 합의에 실패한 5일 이후 12.8% 내려 시가총액이 약 1400억 달러 빠졌다.
아민 나세르 아람코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변하고 있는 세계 환경에서 빠른 적응력이 요구된다"며 "우리는 운영과 재정을 이어나갈 힘을 유지할 것이다"고 했다.
FT는 다만 "증산으로 인한 산유국 간 충돌 속에서 아람코가 일부 수입을 통해 손실을 상쇄할 수는 있겠으나 다른 경쟁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막대한 재정적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쿄 올림픽 취소되면 일본경제 궤멸적 타격' (0) | 2020.03.20 |
---|---|
사우디...유가 10달러대로 간다 !! 푸틴....어쩔 ㄷㄷㄷㄷ (0) | 2020.03.19 |
호나우딩요 통장 잔고가 6천8백원이라는군요 ㄷㄷㄷ (0) | 2020.03.16 |
헤지펀드 대부 레이 달리오 "100년만의 재앙…협조하기 보다는 서로 싸우려는 사람들이 이끄는 파편화된 정치시스템이 과연 필요한 일들을 해낼 수 있을 지 의문" (0) | 2020.03.16 |
주식으로 돈버는법 알려드립니다.txt (0) | 2020.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