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YCC가 도입되면 채권 시장 자체를 통제하면서 채권 금리 변동성을 미 연준 꼴리는대로 할 수 있게 되는 거 본문

머니

YCC가 도입되면 채권 시장 자체를 통제하면서 채권 금리 변동성을 미 연준 꼴리는대로 할 수 있게 되는 거

lk_ch 2020. 6. 17. 01:52
반응형

1. 미 연준이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신용 시장을 떠받치기 위해
유통시장의 개별 기업들 회사채까지 매입하겠다고 밝힘.

2. 이는 그동안 회사채 상장지수펀드(ETF) 또는 발행시장의
회사채만 매입하겠다고 밝혀왔는데, 비교적 자유로운 유통시장의
회사채까지 매입한다고 함.

3. 유통시장 회사채 매입은 뉴욕 연은의 '세컨더리마켓 기업
신용 기구'(SMCCF)를 통해 이뤄짐.

4. 매입 대상은 5년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신용등급 'BBB' 또는
'Baa3'이상의 회사채. 매입 규모는 약 300조원.
미 연준은 팬데믹 공포를 이용해 채권 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음.

5. 현재까지 미 연준의 채권시장에 대한 대처는 다소 피동적이었으나
YCC가 도입되면 채권 시장 자체를 통제하면서 채권 금리 변동성을
미 연준 꼴리는대로 할 수 있게 되는 거임.

6. 연준은 아직까지는 부정하고 있지만 결국 수익률 곡선 관리
(Yield Curve Control)에 들어갈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7. 미 연준의 채권 시장 장악에 대한 시선이 불안한 것이 사실이나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락다운 이후 회복 중인 경제 상황이
돌발적 변수로 인해 곤두박질 치는 것을 막기 위해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임.

8. 코로나 19 팬데믹은 아무런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락다운 해제 이후
2차 감염 웨이브는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

9. 각국은 코로나 19 2차 감염 웨이브 확산의 위험 속에서도 락다운 해제 이후
제조업 지수가 회복되는 등 그나마 경기 지표 상승이 나타나고 있음.

10. 미 연준에게 코로나 19 2차 감염 웨이브는 채권 시장 장악을 위한
필수 불가결의 조건이 아닐 수 없음. 2차 감염 웨이브로 인해 경제 상황이
다시금 불안해지면 채권 시장까지 흔들림에 따라 미 연준의 채권 매집 규모가
커지고 궁극적으로 YCC 도입으로 채권 시장위에 군림하게 될 것으로 전망함.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