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리빙 (972)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1. 주말경 급격하게 늘기 시작해서 확진자 132명이 된 사태의 발단은 북부 롬바르디아 근교의 소도시 코도뇨 (Codogno)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 2. 이곳 병원 응급실로 실려온 38세 남자가 첫 확진자였고 부인과 식사를 함께 했던 친구, 치료했던 병원 의료진들, 응급실을 이용했던 시민들과 동네 카페에서부터 초기단계 최소 39건 이상의 연쇄 감염이 속출했던 것. 3. 문제는 첫 확진자는 중국여행 이력이 없다는 점. 당국은 상하이에서 돌아온 그의 다른 친구를 유력한 첫 감염자로 단정했다. 이른바 "0번 환자". 하지만 0번 환자는 검사결과, 음성판정. 보건 당국은 그가 '무증상 감염자'였지만 갓 회복된 것 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으나 결국 다른 감염자가 있을 가능성을 인정. 4. 당국은 코도뇨에 거주하..
울산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추가 확진자의 이동경로가 비교적 짧은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이 확진자가 지금까지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던 신천지 울산교육센터에서 수십명과 함께 교육에 참가한 것으로 확인돼 울산시가 긴급 조치에 들어갔다. ----------------------------------------- 신천지 이자식들아 전부 공개하고 협조한다면서....
아, 진짜 신천지 때문에 질병관리본부분들 무너지지 않을까 걱정이었는데, 아 이번엔 신천지 때문에 파견온 의사, 간호사 100여분이 격리라뇨... 하아...-_- 분노가 안 치밀 수가 없네요...
현재 코로나 환자들한테 쓰는 치료제인 에이즈 약이 없대요. 원래도 수량이 많지 않았던터라 지금부터 걸리는 사람은 약이 부족할꺼라고. 최악의 시나리오인데. 신천지 이것들이 우선 감염일테고 지역사회로 옮겨다니니 애꿋은 일반 사람들이 확진될텐테. 신천지들이 약도 먼저 먹고 음압병실도 얼마 안남았는데 이것들이 먼저 자리차지할테고. 진짜 열받네요. 자꾸 중국얘기하면서 물타기하는데 확진환자 수만 봐도 지들이 코로나 창궐의 1등 공신인걸 국민들이 모를꺼라 생각하나보죠. 대림동 같은데는 아예 중국이예요. 거긴 온식구가 중국인에 중국 들락거리는 사람 천지인데 대림동에서 확진환자 한명도 안나온거 봐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WwqY7/btqCaSfn3Nj/CDJfMV0gdtkhERnrTvqrc0/img.png)
간단 설명 - 지난번에 이천시에서 음식점에서 폭행사건으로 출동한 경찰관, 거기 있던 목격자들한테 상황 물어보다가 한 여성 목격자가 마스크 왜 쓰고 있냐고 시비걸고 벗기려고 하는하는 과정에서 경찰관 찰과상 입고 경고해도 계속하자 결국 경찰한테 진압당함 - 그걸 촬영해서 올려서 인터넷에서 과잉대응 이라면서 논란 - 그때 당시 그 목격자가 피해자인거처럼 인터뷰 - 여초에서 민원테러 당하고 직위해제까지 당함 , 결국 어제부로 자살하심
이탈리아가 갑자기 확 심각해지네요. 밀라노 시장이 학교 폐쇄 요청.. 유럽에서 혼자 갑자기 감염자수가 100명을 훌쩍 넘은데다가, 가장 감염자수가 많은 롬바르디아의 메인도시인 밀라노는 시장이 학교 폐쇄를 요청했다고 합니다. 이탈리아는 갑자기 혼자 이렇게 되네요 ;
일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투입된 의료진이 '세균' 취급을 받으며 멸시와 차별을 받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전세기 귀국자와 감염자가 대거 발생한 크루즈선 탑승객에게 감염 대응 및 치료 활동을 펼친 의사와 간호사가 공격 대상이 됐다. 아사히 신문은 이들이 직장 내에서 세균으로 취급돼 '이지메'(괴롭힘)를 당하고 있다고 전했다. 직장 상사가 코로나19 대응 현장에서 활동한 것을 문제 삼으며 사과를 요구한 사례도 있었다. 따돌림은 의료진 자녀들에게도 향했다. 코로나19와 관련된 의료진 자녀는 보육원·유치원으로부터 등원 자제를 요구받기도 했다. 일본재난의학회는 22일 이러한 사례를 담은 성명을 발표하며 위험을 무릅쓰고 활동하는 의료진에 대한 ..
NGS 결과 국내 환자에서 분리된 바이러스는 중국에서 분리된 바이러스의 염기서열과 99.7% 일치하며 9개의 유전적 변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이 유전적 변이가 어떤 유의미한 결과를 갖는지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 분리된 바이러스에 ‘BetaCoV/Korea/SNU01/2020’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 설마 설마 했는데 더욱 골치 아퍼진거 같습니다.이때까지의 바이러스보다도 훨씬 무서운 놈인거 같네요... 좋은 소식이 빨리 왔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