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머니 (304)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얼마전에 한 경제지의 보도가 올라왔다가 기재부가 '그런적 없음', '확정 아님'이라고 정정했던 모든 상장주식에 대해 양도세를 부과하고, 거래세를 인하하는 방안에 대한 기사가 연합뉴스발 6월 21일 금일자로 다시 나왔습니다. 잠깐 여론 눈치보면서 후퇴하는 듯하다가, 그대로 추진하는 모양입니다. 정리하면, 1. 현재 대주주 요건을 충족하면 양도세를 부과하고 있으나, 이를 개미를 비롯한 모든 투자자에게 부과하겠다. (단, 증시 위축을 우려하여 시행시점은 2023년) 2. 대주주 요건을 단일종목 10억 보유 → 3억으로 낮추는 것에 대해 금융투자업계에선 유예를 요청하였으나, 유예조치 없이 시행하겠다. 3. 증권거래세와 양도세를 모두 부과하는건 이중과세로, 양도세를 부과하며 거래세를 폐지해야 하지만.. 연 5조원..
흉흉해... ㅜㅡㅜ 이대로가다간 서울 대부분 지역 지정 될거라고... 에이 설마;;; 찌라시겠죠 그냥..? -_-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mLVE/btqEZavrnta/WEULdZPpM84EGV2uGzPkg1/img.jpg)
부동산 투기를 막고 주택시장 과열을 차단하기 위해 정부가 '6·17 부동산 대책' 발표한 날에도 ‘무순위 청약'(줍줍)에 수요자들이 대거 몰렸다. 고분양가 논란으로 계약 포기 물량이 대거 쏟아진 경기도 고양 덕은지구 자이 아파트 무순위 청약에 무려 3만6000여명이 뛰어들었다. 18일 한국감정원 청약홈에 따르면 전날 무순위 청약 접수를 진행한 고양 덕은 'DMC리버파크자이'에는 106가구 모집에 2만1510명 몰려 평균 202.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157가구를 모집했던 'DMC리버포레자이'에서는 1만4352명이 신청해 91.4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2개 단지에서 263가구 모집에 3만5862명이 몰렸다. 그동안 수도권에서 진행된 '줍줍' 청약은 브랜드, 입지, 분양가 등에 관계없이 높은 경..
■ 이번 대책의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지정효과 1. 2주택 이상 보유 세대는 주택 신규 구입을 위한 주택담보대출 금지 2. 1주택 세대는 주택 신규 구입을 위한 주택담보대출 원칙적 금지 (예외 : 무주택 자녀 분가, 부모 별거 봉양 등) 3. 9억 이상의 고가주택 구입시 실거주 목적 제외 주택담보대출 금지 4. 주택 매매업, 임대업 이외 업종 사업자의 주택 구입 목적의 주택담보 기업자금대출 신규 취급 금지 5.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º장특공 배제 7. 2주택 이상 보유자 종부세 추가 과세 (+0.2~0.8%) 8. 2주택 이상 보유자 보유세 세부담 상한 상향 (300%) 9. 일시적 2주택자의 종전 주택 양도기간 변경 (2년 → 1년) 10. 재건축 조합원 지위 양도 제한 (조합설립인가 → 소유권이전..
1. 미 연준이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신용 시장을 떠받치기 위해 유통시장의 개별 기업들 회사채까지 매입하겠다고 밝힘. 2. 이는 그동안 회사채 상장지수펀드(ETF) 또는 발행시장의 회사채만 매입하겠다고 밝혀왔는데, 비교적 자유로운 유통시장의 회사채까지 매입한다고 함. 3. 유통시장 회사채 매입은 뉴욕 연은의 '세컨더리마켓 기업 신용 기구'(SMCCF)를 통해 이뤄짐. 4. 매입 대상은 5년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신용등급 'BBB' 또는 'Baa3'이상의 회사채. 매입 규모는 약 300조원. 미 연준은 팬데믹 공포를 이용해 채권 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음. 5. 현재까지 미 연준의 채권시장에 대한 대처는 다소 피동적이었으나 YCC가 도입되면 채권 시장 자체를 통제하면서 채권 금리 변동성을 미 ..
- 전매제한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점을 이용해 분양권 전매 목적으로 청약을 하는 투기수요가 유입되면서 올해 분양단지 중 40% 이상은 20대1이 넘는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청약과열단지 속출 -> 2017~2019년 수도권·광역시 민간택지에서 20대1을 넘는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며 분양된 단지를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당첨자 4명 중 1명은 전매제한기간 종료 후 6개월 내에 분양권 매도 - 국토부는 전매행위 기간제한을 강화하기 위해 8월까지 관련 내용이 담긴 ‘주택법 시행령’ 개정을 완료할 계획 -> 오는 8월부터 지방광역시와 수도권 비규제지역 민간택지에서 분양하는 신규 주택은 소유권 이전 등기까지 분양권 전매 금지 - 전매제한 강화와 함께 분양가상한제 역시 실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UpQi/btqEP3LGsS4/kRWGGx7WLbSsykn3OihTF1/img.jpg)
- 백양산 롯데캐슬 골드센트럴 (부암1구역) 분양 내역 : 총 2,195세대 중 일반분양 1,442세대 [ 입주 시기 : 23년 12월 입주 예정 ] - 백양산 롯데캐슬 골드센트럴 (부암1구역) 전매 제한 기간 : 입주자로 선정된 날(당첨자 발표일 2020.06.30.)부터 6개월 동안 전매 금지 - 백양산 롯데캐슬 골드센트럴 (부암1구역) 분양 일정 1) 입주자모집공고일 : 6월 11일 2) 특별공급접수일 : 6월 22일 3) 1순위공급일 : 6월 23일 4) 당첨자발표일 : 6월 30일 5) 계약체결일 : 7월 13일 ~ 7월 16일 - 백양산 롯데캐슬 골드센트럴 (부암1구역) 분양가 [발코니확장비] 1) 59A : 3.27억 ~ 3.61억 2) 59B : 3.19억 ~ 3.47억 3) 72 : 3...
의외로 우리나라에 "큰"영향은 아직 적네요?? 그만큼 우리정부에서 대응을 잘하고 있는거겠죠? 주변 생산직 회사들 보면 주4일하는곳도 있고.... 힘든곳들이 많던데 미국경제의 후유증은 언젠가는 들이닥칠 파도라서(금융위기처럼).. 잘 대응하면 좋겠어요
사실 전세금을 이용한 집주인의 갭투자만 제대로 막을 수 있다면 전세제도야말로 세입자들이 돈을 모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세를 내놓지 않고 월세가 많아지는 집이 늘어날 수록 집이 없는 사람들한텐 돈을 모으기 조금씩 힘들어지겠죠. 월세는 계속 그냥 나가는거니가요. 하.. 근데 사실 생각해보면 완벽하게 전세금을 이용해먹는 걸 아주 완벽하게 막아내는 방법도 참 힘든 것 같고.. 혹은 집주인이 전세금 전체 가지고 날랐다! 이런 경우도 사실 참.. 애매해요. 그래서 차라리 전세제도가 없어지는게 낫지 않나라는 생각도 가끔합니다만, 또 집 없는 사람들을 생각하면 또 그건 아닌 것 같고.. 전세금을 어디에 쓰더라도 세입자가 나가고 싶을때 아주 편하게 나갈 수만 있으면 나쁘지 않은 제도라고 생각하는데....